{{ post.title }}
글 편집
글 편집 (이전 에디터)
{{ post.author.name }}
작성일
"MFBD 기능에 또 한번의 혁신을 더할 Solver Performance 를 목표로"
개발그룹, 솔버팀, 김성수 수석 연구원
타 동역학 소프트웨어와 RecurDyn의 차이점 중 하나를 꼽으라면 단연 '빠르고 정확한 해석 결과' 입니다. RecurDyn의 두뇌라고 할 수 있는 Solver가 만들어내는 차이점인데요, 학업을 갓 마쳤을 무렵부터 10년이 지난 지금까지 묵묵히 한 자리에서 리커다인 솔버의 성능을 견인하는데에만 집중하고 있는 인재가 있습니다. 솔버팀 김성수 수석을 인터뷰 해 보았습니다.
어떤 계기로 펑션베이㈜에서 일하게 되셨는지요?
대학원을 입학하고 얼마 지나지 않았을 때 실험실 선배의 소개로 펑션베이를 알게 되었습니다. 당시 군 복무 등의 개인 사정을 고려했을 때, 펑션베이에서 일하는 것이 나쁘지 않은 선택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또한 대학원에 입학해 보니 프로그래밍 능력이 꽤 중요하였었는데 저는 많이 부족했었습니다. 회사에 와서 일을 하게 되면 프로그래밍을 배울 수도 있을 것 같아서 입사를 지원하게 됐습니다.
처음 회사 생활을 시작한 것이었기에 초기에는 실수도 많이 하고 힘든 시기도 많았습니다. 하지만, 힘들었던 시기를 잘 견뎌내면서 이것저것 많이 배우기도 하고 스스로 성장하면서 10년 이상 근무를 하고 있다는 게 신기하기도 합니다. 한편으로 일을 하면서 동시에 학업도 마칠 수 있게 되어서 여러모로 회사에 감사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입사를 결심하고 나서 처음 소개를 받을 때 우연하게 당시 Solver2팀 팀장님(현 CTO님) 과 면담을 하게 되었고 바로 Solver2팀에 입사하게 되었습니다. 다시금 돌이켜 보면 Solver 팀에 들어온 게 다행인 것 같습니다. Solver 팀에서 하는 업무가 저에게 아주 잘 맞아 즐겁게 일하고 있습니다.
리커다인의 기능을 개발하실 때, 가장 우선순위로 생각하시는 가치는 어떤것인가요?
개인적으로는 MFBD (Multi Flexible Body Dynamics)의 기능을 더 다양하게 그리고 더 빠르고 정확하게 구현할 수 있는 방향으로 RecurDyn의 솔버 성능이 발전을 했으면 하는 바람을 가지고 업무에 임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가치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그 범용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꾸준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매년 개발을 함에 있어서 느끼는 부분이지만 조금 어려운 개발을 할 때에는 개발 기간 내에 완성도를 70~80%까지는 어렵지 않게 달성할 수 있지만 마무리될 때까지 완성도를 90% 이상 끌어올리는 게 쉽지가 않습니다. (주관적인 판단입니다.) 여태껏 개발을 하면서 이런 식으로 마무리되는 개발들이 종종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정해진 개발 기간을 무한정 늘릴 수는 없기 때문에 어떻게 하면 주어진 시간 내에서 개발 아이템 대부분을 90% 이상의 완성도로 마무리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 고민을 하고 있습니다.
더 높은 수준의 사전 조사를 통해서 개발 아이템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완성도 높은 개발을 할 수 있도록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경쟁 소프트웨어들과 비교했을 때, 리커다인이 가지고있는 가장 큰 강점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RecurDyn의 MFBD 해석은 다른 CAE 제품 대비 큰 강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를 기반으로 다분야 통합 해석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가령 RecurDyn 은 CoLink를 통해서 제어 분야의 모델링과 통합 해석이 가능하고 FMI 표준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CAE 소프트웨어와의 연동 해석도 가능합니다. 또한 유체 해석과 MFBD의 연동 해석을 위해서 SPI (Standard Particle Interface)라는 자체 인터페이스를 개발, 이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RecurDyn이 가지는 MFBD의 가치를 기반으로 다른 분야와의 통합 해석을 통하여 산업적 측면에서 다양한 해석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이 RecurDyn 이 지향할 목표이고 보다 뚜렷한 장점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RecurDyn이 기존에 제공하던 기능을 더 업그레이드하기도 하고 새로운 기능을 개발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렇게 개발했던 것들 대부분이 고객들의 요구 사항에서 비롯되거나 그와 관련된 기능들인데, 각각이 다 저마다의 이유로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모쪼록 제가 열심히 개발한 기능들을 고객들이 유용하게 사용했으면 합니다. 그중에서도 특히 해외의 한 고객사와의 프로젝트를 통해서 개발한 실린더 및 피스톤의 윤활과 관련된 시뮬레이션을 하는 기능이 있는데, 개발 과정 자체는 쉽지 않았지만 고객들의 요구 조건을 충족하는 과정에서 여러 실증 데이터와의 결과 검증을 할 수 있었고 이 과정에서 연구한 내용과 결과를 박사학위 논문에 반영할 수 있어서 나름대로 저에게는 의미 있는 기능이기도 합니다.
CAE 소프트웨어는 말 그대로 공학 응용 소프트웨어이기 때문에 공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이와 관련된 기능들을 프로그램으로 구현하는 것입니다. RecurDyn 은 기계공학 관련 CAE 소프트웨어이기 때문에 기계공학적 지식을 기반으로 관련 기능들을 프로그램으로 구현한 것입니다. 따라서 개발자 및 영업 직원 모두가 이에 대한 기본 베이스가 잘 갖춰져 있어야 고객에게 더 나은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기계공학 분야는 방대하고 또한 우리 소프트웨어가 동역학에만 국한되어서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프로그래밍 측면에서든 공학적 분야에서든 끊임없이 새로 배우려는 노력이 요구됩니다. 따라서 자신의 전공과 관련하여 끊임없이 배우고 성장하고자 하는 사람이라면 개인의 성장과 제품의 성장을 동시에 성취하는 보람을 느낄 수 있는 분야라고 생각합니다.
RecurDyn 제품 개발과 관련하여 이루고 싶은 목표나 꿈이 있다면 말씀해주세요.
제품개발과 관련하여 이루고 싶은 정해진 목표가 있기보다는 지속적으로 저 자신과 RecurDyn이 함께 성장을 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새로운 기능을 개발하거나 기존의 기능을 더 고도화하기 위해서 자연스럽게 연구와 관련 공부가 수반될 것이고 또 개발자라 할지라도 고객의 니즈와 관련된 정보를 얻기 위해 BU 및 고객과의 소통을 지속해 나갈 것입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업무와 관련된 실력이나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길 희망합니다.
또한 나름 오래 일해 오면서 많은 직원분들과 협업을 해가며 느꼈지만 동료 직원들 개개인이 저마다의 특성을 가지고 있고 제가 가지지 못한 장점들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것들에 자극받으면서 긍정적으로 변화하였으면 합니다. 이러한 개인 및 직원들의 성장에 대한 결과로서 더 나은 제품이 만들어지고 매출 성장도 동반되었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