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ost.title }}
글 편집
글 편집 (이전 에디터)
{{ post.author.name }}
작성일
"나의 꿈, 나의 모험"
Graham Sanborn 수석연구원
펑션베이㈜에는 한국과의 특별한 인연으로 인해 RecurDyn 개발자로 일하고 있는 미국 국적의 개발자 Graham Sanborn 박사가 있습니다. RecurDyn의 핵심 기능인 MFBD (Multi-Flexible Body Dynamics) 관련 기술 개발에 참여하고 있는 그는 “인생은 과감한 모험이다. 모험이 아니라면 인생은 아무 것도 아니다.”라는 헬렌 켈러의 말처럼 그의 삶은 거대한 모험이며, RecurDyn은 그가 이루고 싶은 꿈과 목표가 생기게 해주는 매개체라고 말합니다.
자신에 대해서 소개해주세요.
저는 펑션베이㈜에 2009년에 입사하였으며, 현재 MFBD와 관련된 개발을 담당하고 있는 솔버 2팀의 팀원으로서, RecurDyn/FFlex와 관련된 연구 및 개발을 하고 있습니다. 저는 대학에서는 컴퓨터 공학을 전공하고 대학원에서는 기계공학에 대한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그래서 이 분야에서는 다소 특이한 이력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이력 덕분에 저는 소프트웨어 공학과 기계공학, 두 분야를 이해하는 데 있어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제가 박사 학위를 받을 당시의 지도 교수는 FFRF (floating frame of reference formulation)과 ANCF (absolute nodal coordinate formulation)의 이론적 배경을 제시하는 등의 다양한 업적을 통해 MBD (Multi-Body Dynamics) 분야에서 대단히 유명한 Dr. Ahmed Shabana 였습니다.
한국에 있는 펑션베이㈜에 지원한 동기는 무엇인가요?
제가 펑션베이㈜에 입사하게 된 데에는 3가지 중요한 이유가 있습니다. 첫 번째 이유는 제가 개인적으로 다물체동역학이라는 분야에 매우 관심이 많기 때문입니다. 저는 기계 분야, 물리 분야, 컴퓨터 분야에 푹 빠져 있었는데, MBD는 이 세 분야가 절묘하게 섞여 있는 분야라 할 수 있었습니다. 따라서 MBD를 위한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를 개발한다는 것은 저에게는 도전이자 보람을 느낄 수 있는 일이었습니다. 그 일은 제가 좋아하는 수학과 물리뿐만 아니라 수치 알고리즘, 컴퓨터 공학을 활용할 수 있는 일이었기에 제 자신을 성장시킬 수 있을 거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리고, 펑션베이㈜를 지원한 두 번째 이유는 펑션베이㈜라는 회사에 마음이 끌렸기 때문입니다. 펑션베이㈜는 MBD 분야를 선도하고 있는 회사이고, CAE의 미래에 대한 강한 비전을 가지고 있으며, 기업으로서 나아가야 할 방향 감각이 뛰어난 회사입니다. 또한, 펑션베이㈜는 고객들에게 최고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직원들에게도 지원을 아끼지 않는 회사입니다. 저에게는 이러한 것이 대단히 중요하게 와 닿았습니다. 저는 만일 어떠한 회사를 위해 저의 모든 에너지를 쏟았을 때, 그 회사가 최고가 되고자 노력하고, 더 좋은 세상을 만들며, 더 나은 내가 될 수 있게끔 도와줄 수 있을 지 확인하고 싶었습니다. 펑션베이㈜는 이러한 부분에 부합하였으며, 제가 펑션베이㈜를 선택할 때에도 아주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습니다.
제가 한국에서 일을 하게 된 마지막 이유는 아주 개인적인 내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저희 조상들은 그 뿌리가 유럽이지만, 저희 가족은 동아시아, 특히 한국에서 꽤 긴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저희 외증조부님과 그의 가족들은 1900년대 초, 25년 이상의 긴 세월 동안 한국에서 사셨습니다. 외증조부님은 숭실대학교의 2대 총장이셨으며, 저의 외조부님을 포함한 그의 자녀들 대부분은 한국에서 태어나셨습니다. 외조부님은 16살까지 한국에서 사셨기에 그의 첫 언어는 한국어였으며, 4살까지 영어를 배우지 않았다고 합니다. 그래서, 저는 세계 2차 대전이 발발하지 않았다면, 저희 가족들은 한국에 여전히 남아있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저희 가족은 한국을 사랑했고, 이곳을 떠나고 싶어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제가 한국에 있는 펑션베이㈜에서 일하게 된 것은 저에게 있어 꿈이 실현된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편집자주 : 숭실대학교의 역대 총장 중, 제2대 학장이신 나도래 선생이 Dr.Graham의 외증조부입니다. http://www.ssu.ac.kr/web/kor/intro_a_05)
RecurDyn에서 어떤 영역을 맡고 있나요?
Dr. Shabana의 연구실에서 박사 과정을 하고 있을 당시, 저는 다물체동역학을 위한 새로운 flexible body formulation을 개발하는 일에 집중했었습니다. 그래서, 펑션베이(주)에 입사한 후 저의 주요 업무는 자연스레 RecurDyn/FFlex의 유한요소와 관련된 솔루션을 개발하는 일이 되었습니다.
현재, 저는 유한요소의 다양한 측면과 관련이 있는 nonlinear materials와 advanced element technologies, numerical methods를 연구하고 개발하고 있는데, 이 연구들은 제가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element technologies와 continuum mechanics 분야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들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저는 이러한 연구 프로젝트들을 통해 MFBD와 관련된 개발을 담당하는 저희 팀뿐만 아니라 솔버 코어 기술을 개발하는 타 팀과 긴밀하게 함께 일하고 있으며, RecurDyn에서 개선된 flexible element technologies를 솔버의 다양한 측면과 밀접하게 연계시키고 있습니다. 다시 말해, 새로운 element technologies에 대한 개발에는 많은 팀 단위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저희 팀은 대단히 뛰어난 개발자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양한 프로젝트를 위해 아주 긴밀하게 일하고 있습니다. 저는 이러한 강한 팀 환경이 펑션베이㈜의 중요한 장점이라고 생각합니다. 다양한 프로젝트를 통해 서로의 지식을 확장시키고 서로의 아이디어를 공유할 수 있기 때문에 즐기면서 일할 수 있게 됩니다. 그래서, 우리의 이러한 팀워크는 프로젝트를 성공으로 이끌어주는 중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습니다.
본인의 업무에 있어서 가장 도전적인 요소는 무엇인가요?
유한요소라는 것은 정말 도전 그 자체입니다. 그리고 방대하고 강력한 코드를 기반으로 일을 한다는 것 역시 저에게는 커다란 도전이라 할 수 있습니다.
유한요소의 기본 컨셉은 대단히 단순합니다. 그러나, 유한요소의 기본적이고 교과서적인 formulation은 그다지 강력하지 않습니다. 즉, 계산량에 비해 정확도가 상당히 떨어집니다. 따라서 수많은 연구자들은 기본적인 유한요소 formulation의 계산시간 대비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입니다. 게다가, 유한요소는 원래 동역학이나 다물체 시스템을 위해 설계된 것이 아니라, 정적 해석을 위해 설계된 것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유한요소의 수학적 모델을 RecurDyn에 맞게끔 모션기반의 유한요소(Motion-based Finite Elements)로 향상시키는 것은 저에게 큰 도전이라 할 수 있습니다.
물론, 모국이 아닌 외국에서 일한다는 것 역시 또 다른 도전이라 할 수 있습니다. 한국의 문화는 미국과 많이 다르며, 일하는 방식 또한 많이 다릅니다. 그래서, 저에게 있어 한국에서 일을 하는 방식에 적응한다는 것은 하나의 도전입니다. 저는 한국에서 자란 것이 아니기 때문에, 문화적인 실수나 대인관계에 있어서 상대방을 불편하게 하는 실수를 저지르곤 했습니다. 하지만 저희 팀원들을 비롯한 펑션베이의 동료들은 제가 한국에서의 생활에 적응할 수 있도록 저에게 아주 친절하게 대해주고 도움도 주었습니다. 저는 그러한 부분에 대해 대단히 감사하게 여기고 있습니다.
유명한 미국인 중 하나인 헬렌 켈러는 “인생은 과감한 모험이다. 모험이 아니라면 인생은 아무 것도 아니다” 라고 했습니다. 이 곳에서의 저의 삶은 거대한 모험이고 그것이 도전일지라 해도 저에게는 큰 경험입니다. 저는 이 곳에서 지내면서 좋은 친구들을 사귈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된 것에 감사하고 있습니다.
CAE의 미래를 위해서는 무엇이 중요하며 그 미래를 위해 펑션베이㈜는 어떤 역할을 해야 된다고 생각합니까?
저는 CAE의 발전을 이끄는 데에는 다양한 원동력이 있다고 생각하는데, 그 중 제가 특별히 관심을 갖는 것이 두 가지 있습니다. 첫 번째는 내일이 되면, 고객은 오늘보다 더욱 최적화된 솔루션을 필요로 할 것이라는 것입니다. 저는 이것이 비즈니스의 자명한 이치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므로, 고객들은 자신들이 사용하는 CAE툴이 보다 최적화된 솔루션을 줄 수 있게 되기를 원할 것입니다. 따라서 CAE 툴은 단일 모델에 대해 좀 더 다양한 분야를 통합시킬 필요가 있을 것입니다. 좀 더 최적화 된 솔루션을 얻기 위해서는 제품 설계 프로세스의 보다 초기 단계에 다양한 요소를 포함시킬 수 있어야 합니다. 또한 고객들은 그들이 사용하는 CAE 툴로부터 좀 더 높은 정확도를 가진 결과를 얻을 수 있어야 합니다.
두 번째 원동력은 고객들은 특정한 문제들을 풀기 원할 것이라는 것이라는 점입니다. 고객들은 어떠한 문제든 풀 수 있는 범용 툴을 원하지 않습니다. 고객들은 자신들의 문제를 풀어줄 수 있는 툴을 필요로 합니다. 하지만, CAE 툴의 트렌드는 상상할 수 있는 어떠한 문제라도 풀어 낼 수 있는 보다 범용적인 방향으로 성장해가고 있습니다. 그리고 결과적으로, CAE툴의 사용법은 점점 복잡해지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CAE 툴은 사용자가 좀 더 쉽게 커스터마이즈할 수 있어야 합니다.
만일 CAE 툴이 쉽게 커스터마이즈될 수 있다면, CAE 툴은 자신이 원하는 문제를 풀기 위한 고객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초점을 맞춰야 합니다. 그럴 수 있다면 CAE 툴의 범용화로 인하여 생긴 복잡성은 커스터마이즈를 통해 제거 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CAE 툴이 각 회사의 개발 프로세스와 통합될 수 있어야 한다는 것 또한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각 회사는 새 제품을 개발하기 위해 자신들만의 독특한 프로세스를 가지기 때문에 CAE 툴은 서로 다른 개발 프로세스와 쉽게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만들어질 필요가 있습니다.
그렇다면, 펑션베이㈜가 어떠한 부분에서 이러한 점들에 잘 맞아 들어갈 수 있을까요? CAE의 미래를 위해 펑션베이는 어떤 역할을 해야 할까요? 이에 대한 저의 의견은 말하자면, 펑션베이㈜는 다물체동역학을 배경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위에서 언급한 두 가지를 충족시킬 수 있는 이상적인 위치에 있다고 볼 수 있으며, 아주 중요한 위치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RecurDyn은 모션을 기반으로 하는 CAE (Motion CAE)이며, 시스템 레벨의 설계에 활용되는 툴입니다. 저는 이러한 RecurDyn의 특징이 점점 더 중요해질 것이라고 믿습니다. 고객들이 보다 정확하고 최적화된 결과를 요구함에 따라, 고객들은 보다 조기에 그들의 설계에 있어 기구의 거동(motion)을 고려할 필요가 생길 것이며, 시스템 레벨에서의 설계를 고려할 필요가 생길 것입니다. RecurDyn은 시스템 레벨의 해석에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에 RecurDyn이 보다 복잡하고 다양한 분야가 통합된 시스템을 해석하는 데 사용하게 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입니다.
게다가, 이와 같은 설계 프로세스의 복잡성으로 인해 RecurDyn은 커스터마이즈와 관련된 부분을 크게 중요시하고 있습니다. 펑션베이는 보다 손쉽게 특정 문제에 초점을 맞추는 데 도움이 되는 다양한 기술을 적극적으로 개발하고 있으며, 동시에 다른 CAE툴이나 고객들의 설계 프로세스에 RecurDyn이 쉽게 통합될 수 있게 하기 위한 강력한 도구들도 개발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앞으로도 펑션베이㈜가 시스템 레벨 해석 분야와 고객에 초점을 맞춘 커스터마이즈와 관련된 분야를 지속적으로서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앞으로 제품 개발과 관련하여 이루고 싶은 목표나 꿈은 무엇인가요?
단기적으로는, RecurDyn의 계산 성능을 향상시키고, 풀어낼 수 있는 문제의 범위를 넓히고 싶습니다. 특히, RecurDyn/FFlex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에 집중하고 싶습니다. 또한 저는 HPC (High Performance Computing) 기술을 RecrDyn에 포함시키고 싶습니다. 저는 저의 배경이 이와 같은 기술을 위한 연구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좀 더 장기적으로는, RecurDyn이 CAE를 실행하기 위한 중심 플랫폼이 될 수 있도록 연구하고 개발하는 일에 깊이 참여하고 싶습니다. 이것은 RecurDyn의 미래에 대한 비전 중의 하나이며, 저의 기술과 지식이 이러한 프로젝트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논문 & 저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