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nical Support

{{ post.title }} 글 편집 글 편집 (이전 에디터) 작성자 {{ post.author.name }} 작성일

동역학 기술 세미나


펑션베이는 MBD 분야 최고 권위자들과 함께하는 CAE 엔지니어를 위한 다물체 동역학 해석 기술세미나를 개최하였습니다.

  • 날짜: 2019년 11월 8일 (금) 13시-19시
  • 장소: 양재동 엘타워 (골드홀)

이번에 개최된 다물체 동역학 해석 기술 세미나에서는 기계공학부 및 메카트로닉스공학과 교수님들을 비롯하여 펑션베이의 전문 엔지니어들의 발표가 주를 이루었습니다. 이 분야와 관련된 많은 전문가분들이 함께 참석해주셨습니다. MBD의 역사를 통하여 미래를 전망하고, 다물체 동역학의 다양한 활용 사례와 트렌드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뜻깊은 자리가 되었습니다.


              동역학 기술 세미나 발표자들


[기술세미나 발표리스트]

1. 부산대학교 기계공학부 유완석 교수 / 대한기계학회 회장 (2011)

  • 발표 제목: 다물체 동역학과 함께한 40년, 지나온 길을 통해 전망하는 MBD의 미래
  • 발표 내용: 오래전부터 학계와 산업계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 다물체 동역학은 최근 디지털 트윈이라는 개념이 대두되며 그 중요성이 보다 높아지고 있습니다. 다물체 동역학이 어떤 모습으로 발전해 나갈 것인지는 CAE 엔지니어들이 많은 관심을 갖고 있는 주제입니다. 이에 다물체 동역학의 역사를 돌아보고, 이를 통해 MBD의 미래를 내다 볼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해 드립니다.


2. 충남대학교 메카트로닉스 공학과 김성수 교수 / 대한기계학회 동역학 및 제어부분 회장 (2012)

  • 발표 제목: 4차 산업혁명 시대를 향한 다물체 동역학 기술 - 실시간 다물체 동역학을 중심으로
  • 발표 내용: 다물체 동역학의 역사는 1964년, IBM 컴퓨터의 등장과 함께 발전해오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그 유용성을 증명하고 있습니다. 최근 점점 그 중요성이 높아져 가고 있는 가상현실과 연결된 각종 시뮬레이터 기술,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제어기가 연동된 HILS 기술, 그리고 최근 과거의 버추얼 프로토타이핑(virtual prototyping) 설계와 맥락을 같이 하고 있는 디지털 트윈 기술 등에 있어서 필수적인 요소로 실시간 다물체 동역학 해석 기술을 들 수 있습니다. 이 시간에는 실시간 다물체 동역학을 위한 요소 기술을 정리하고, 국제 학계에서 진행되고 있는 실시간 다물체 동역학 기술을 조명해 봄으로써, 최신 응용과학 분야에 있어서의 다물체 동역학의 중요성과 위치를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3. 펑션베이 전용우 팀장 

  • 발표 제목: CAE 엔지니어 체크포인트 I. 유연 다물체 동역학 해석의 이해
  • 발표 내용: 강체와 유연체가 모두 포함된 시스템의 동역학적 거동을 해석하는 유연 다물체 동역학(MFBD: Multi Flexible Body Dynamics)은 이미 필수적인 기술이 되었습니다. CAE 엔지니어라면 꼭 체크해 두어야 할 유연 다물체 동역학의 특징과 개념, 그리고 이를 활용한 다양한 사례를 소개합니다.


4. 펑션베이 이정한 수석

  • 발표 제목: CAE 엔지니어 체크포인트 II. 다물체 동역학 기반 다중 물리 해석 사례
  • 발표 내용: 여러가지 역학 현상을 복합적으로 고려하는 다중 물리 해석 사례가 점점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보다 실제에 가까운 디지털트윈을 만들기 위해 다물체 동역학 뿐만 아니라 유체(CFD)나 분체(DEM), 혹은 제어(Control) 분야에 대한 고려가 필요합니다. 다물체 동역학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다중 물리 해석 사례를 소개함으로써, 실제 현업에서 응용할 수 있는 인사이트를 제공해 드립니다.


5.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학장, 기계공학부 교수 유홍희 교수 / 58대 대한기계학회 회장

  • 발표 제목: 다물체 동역학 시스템의 불확실성 분석 및 설계
  • 발표 내용: 다물체 동역학 시스템의 특성이나 성능을 결정하는 그 구성 요소들의 형상 및 물리적 특성은 일정하지 않거나 지속적으로 변화합니다. 이러한 변화들로 인한 불확실성 분석 및 설계를 위해 많이 사용하는 몬테카를로법은 1회의 해석 시간이 아주 짧은 문제를 제외하고는 대체로 엄청난 계산 시간이 소요된다는 단점을 갖고 있습니다. 본 강연에서는 제품의 특성이나 성능의 불확실성을 분석하고 설계할 수 있는 다물체 동역학 이론에 기반한 방법론을 소개하고 대표적 예제들을 통해 설계 변수의 불확실성이 해당 시스템의 특성 및 성능의 불확실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를 보여드립니다. 아울러 시스템의 특성 및 설계 변수의 비선형성이 문제가 되는 경우 및 이에 대한 해결 방법에 대한 연구 내용을 소개하고, 끝으로 모집단의 통계를 샘플을 통해 추론하여 시스템을 불확실성을 분석하는 방법과 이에 근거한 설계 방법론을 소개합니다.


[발표자료 링크]

아래의 링크에서 이번 기술세미나의 발표자료를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습니다.

https://support.functionbay.com/ko/user-conference/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