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nical Support

{{ post.title }} 글 편집 글 편집 (이전 에디터)

Version {{ post.target_version }} Product
{{ product.name }}
Tutorial/Manual {{ post.tutorial.upload_filename }} Attached File {{ post.attachment.upload_filename }}

 

RecurDyn은 Body의 Flexibility를 고려하기 위해서 다물체 동역학 모델을 구성함에 있어 FFlex Body 또는 RFlex Body를 포함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RecurDyn에서 FFlex Body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변환하고자 하는 Rigid Body에 대해서 FFlex/Mesher를 통해 RecurDyn인 내부에서 자체적으로 쉽게 Mesh를 생성함으로써 FFlex Body로의 변환을 쉽게 이룰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RecurDyn V8R2 버전까지 RFlex Body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RecurDyn이 아닌 FE Software에서 제공하는 Eigen Solver를 사용하여 RFlex Body 생성을 위한 결과 파일을 생성한 후, RecurDyn에서 추가적인 다른 작업을 통해야지만 RFlex Body를 생성할 수 있었습니다.

이와 같이, RFlex Body에 대한 결과를 RecurDyn 내부에서 자체적으로 결과를 얻을 수 없었기 때문에, V8R3버전부터 RecurDyn 내부 Eigen Solver를 사용하여 자체적으로 RFlex Body를 생성할 수 있는 결과 파일 즉, RFI(Reduced Flexible Body Interface) file을 생성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하였습니다.

그러므로 본 튜토리얼에서는 새로운 기능인 RFlexGen를 사용하여 어떻게 다물체 동역학 모델에서 RFlex Body를 사용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장점은 무엇인지 설명하고자 합니다. 본 교재에서 사용된 모델은 단순화된 4기통 직렬형 내연기관 모델로서, 4개의 피스톤에서 발생한 연소 폭발 과정을 모사하고 있습니다. 이때, 크랭크 축(Crankshaft) Body를 FFlex/RFlex Body로 대체하였을 때 나타나는 동적 특성을 바탕으로 앞서 설명한 교재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합니다.